* 가스기술사 *

전기 전도도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August58 2025. 7. 1. 10:21
반응형

전기 전도도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 개요

전기 전도도란? 물질 내에서 전류가 잘 흐르는 정도를 나타내는 양으로 고유전기저항의 역수와 같다. 하전량과 이동도의 곱과 비례하며, 전기적 조건이나 빛 등의 외부 조건과 물질의 구조의 영향을 받는다. 금속과 같은 도체일수록 그 값이 크고 절연체일수록 작다.

 

2. 전기 전도도(electric conductivity)?

전기전도는 전하를 운반하는 입자의 수, 그 하전량과 이동도의 곱에 비례한다. 이것들의 양은 저니적 조건, 온도, 압력, 빛 등의 외적 조건에 의해서 변화고, 물질의 구조에 크게 좌우된다. 금속 등에서는 크고 절연체에서는 작으며, 반도체에서는 그 중간값을 취한다. 또한 전기전도도는 저항의 역수, 즉 콘덕턴스를 뜻하는 경우도 있다.

간단히 말하면 전기 전도도는 전기가 잘통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하나의척도이다.

 

. 전도도는 비저항(Resistivity)의 역수이다.(K, -1․㎝-1)

. 전도도가 크면 강전해질, 즉 전기가 잘 통하는 용액이다.

. 전도도는 로 표시된다.

. 전도도는 용액의 농도가 같아도 전리된 이온의 종류에 따라서 다르다.

(이온의 이동속도가 이온종류에 따라서 틀림.)

 

 

3. 전기 전도도에 따른 분류

. 전기전도도로 비금속과 금속을 구분한다..

- 전기전도도가 적으면 비금속 전기전도도가 크면 금속

 

. 전기전도도가 높은 원소로는 은, 구리, 금등이 있다.

전기전도도가 낮은 원소로는 산소, 질소 등이 있다.

이러한 전기전도도를 원소에서 금속, 비금속 구분한다.

. 전기전도도로 구분한 물질

- 전기전도도가 높으면 도체(흑연등)

- 전기전도도가 낮으면 부도체(다이아몬드, 나무등)

- 전기전도도가 때에따라 변하는 경우 반도체라고 한다.

 

5. 맺음말

일반적으로 전기전도도는 전하를 운반하는 입자의 수, 그 하전량(荷電量)과 이동도(易動度)의 곱에 비례한다. 이것들의 양은 전기적 조건·온도·압력·빛 등의 외적 조건에 의해서 변하고, 물질의 구조에 크게 좌우된다. 금속 등에서는 크고 절연체에서는 작으며, 반도체에서는 그 중간값을 취한다. 또한 전기전도율을 전기전도도라고도 하는데, 전기전도도는 전기저항의 역수, 즉 콘덕턴스를 뜻하는 경우도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