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스기술사 *

지하매설배관 희생양극의 수명판단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August58 2025. 7. 2. 09:36
반응형

지하매설배관 희생양극의 수명판단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 지하매설배관의 방식용 희생양극 수명판단은 통상적인 것으로서는 배관의 전위가 신규 설치시 약 -1.7V이나 시간이 지날수록 양극이 소모되어 -850mV 보다 (+)방향이 되면 수명이 다한 것으로 판단한다.

 

2. 그러나 배관의 길이가 변하거나 또는 절연이 파괴되어 주위환경이 변하는 경우에는 양극이 충분한 양이 남아 있는데도 불구하고 배관의 전위가 불량해지는 경우가 있다. 또 주위에 굴착공사로 인하여 양극의 Back fill이 손상된 경우에도 배관의 전위는 불량해진다. 이 경우에는 전위측정만으로는 양극의 수명을 예상할 수 없으므로 이런 경우를 대비하여 양극의 출력전류를 수시로 점검하여 출력전류가 갑자기 감소하면 양극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해야 하나, 이것은 배관의 전위가 앞서 측정 때와 동일하거나 (+)방향일때만 정확하며 배관의 전위가 어떤 원인에 의하여 (-)방향으로 된 경우에는 당연 히 출력전위가 감소할 수 밖에 없다. 그러므로 평소의 전위측정치와 발생전류차의 기록이 중요하다.

 

3. 배관의 전위가 어떤 원인에 의하여 -1.7v 보다 더 (-) 방향인 경우에는 Mg-anode가 전류를 방출하고 부식하는 것이 아니고 도리어 방식이 되는 경우이므로 측정된 전류치는 양극의 수명판단에 아무런 의미가 없으며 이 기간 동안은 양극이 부식하지 않으므로 양극의 수명이 연장된다.

 

4. 만약, 배관의 전위가 대단히 불량해지면서(심하면 +인 경우도 있음) 출력전류 가 (-)인경우에는 배관과 양극이 타 직류전원에 의하여 부식되는 것이므로 그 원인을 제거하도록 하여야 한다.

 

5. 지하철의 영향을 받는 지역에서의 희생약극의 수명은 주간 전위를 기준으로 해서 판단이 불가능 하므로 반드시 야간 전위 및 전류를 측정하여 판단하도록 한다.

 

6. 절연의 파괴로 배관의 전위가 불량할 경우에는 양극의 출력전류가 갑자가 상승한다. 이것은 당연한 결과로서 파괴된 배관의 절연이 복구되면 출력전류도 전과 같은 수치를 나타낸다. 또한 절연이 파괴되는 동안 출력전류가 증가 하였으므로 양극의 수명은 그만큼 감소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