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변의 설치장소와 설치방법에 대하여 기술하시오
1) 안전변은 유지보수를 위하여 쉽게 접근할 수 있고 유체맥동이 없는 장소에 설치한다.
2) 용기내의 유체에 의한 진동 가능성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안전변은 가능한 용기 상단부에 바로 설치한다.
3) 용기와 안전변 사이에 차단변 설치는 거의 모든 규격(Code)에서 허용되지 않으며 허용될 경우에도 어떤 특별한 조건을 만족시켜야 한다.
4) 하나 이상의 안전변이 다음경우에 필요하다.
- 방출용량이 너무 커서 하나의 안전변으로는 크기가 너무 클 경우 : Y-Branch 이용
- 안전변 작동으로 인한 공장 전체의 운전 정지를 피할 경우 : 3-way밸브 이용
- 공장의 정상운전에 비해 최대 방출량이 너무 큰 경우 : 설정압력이 다른 안전변을 병렬 설치
5) 안전변 몸체로부터 위험한 유체를 Vent할 경우 안전한 지역으로 유도한다.
6) 흡입배관은 안전변보다는 낮은 위치에 있어야 하며, 가능한 최대방출량 (max.rated-flow)에서의 압력손실이 안전변 설정압력의 3%이내가 되도록 흡입배관이 설계되어야 한다.
7) 안전변의 배압이 알려지지 않는 곳에서는 balanced 밸브를 이용한다.
8) 방출배관 안전변 몸체에 지나친 stress를 주지 않도록 해야 한다.
9) 가스와 증기의 경우 방출배관은 윗쪽으로 향하게 하고 제일 하단부에 Drain구멍을 만든다.
10) 액체의 경우 방출배관은 안전변몸체의 Flooding을 피하기 위해 아래쪽으로 설치한다.
'* 가스기술사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고층집합주택의 가스설비 설계시 반영해야할 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0) | 2011.12.08 |
---|---|
부취제(附臭濟, Odorant) 주입설비에 대하여 기술하시오. (0) | 2011.12.08 |
도시가스(LNG, LPG)의 정제·저장기술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시오. (0) | 2011.12.08 |
가스센서의 종류, 감지 대상가스 및 특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0) | 2011.12.08 |
고압가스특정제조 설비기준에 따른 1) 긴급차단장치 2) 긴급이송설비 3) 플래어스택(65회 출제) (0) | 2011.12.08 |